오랜 시간 운전을 하시다 보면 가끔 브레이크 페달이 스펀지 밟는 것처럼 쑥 하고 밟히는데 막상 예전보다 제동력은 약해지는 현상을 겪곤 합니다. 이는 상당히 위험한 상황으로 베이퍼록(Vapor Lock)이라고 하는 제동력 손실 현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늘은 베이퍼록의 현상은 무엇인지, 또 왜 발생하는지, 해결 방안은 무엇인지 등등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 브레이크 부스터(배력장치)의 기능, 구조, 원리 및 작동 방식에 대하여
목차
- 브레이크 베이퍼록(Brake Vapor Lock)의 정의
- 베이퍼록(Vapor Lock)의 발생 메커니즘
- 베이퍼록(Vapor Lock)의 증상
- 베이퍼록(Vapor Lock) 발생 원인
- 베이퍼록(Vapor Lock) 예방 및 해결 방법
- 베이퍼록 발생 시 응급 요령
- 마치며
브레이크 베이퍼록(Brake Vapor Lock)의 정의
브레이크 저더 -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핸들이 떨린다고?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유압 시스템으로 운전자가 페달을 밟게 되면 브레이크 부스터와 마스터실린더를 통해 얻어진 큰 유압은 브레이크 유로를 통해 각 바퀴로 전달이 되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 캘리퍼의 라이닝과 회전하는 디스크의 마찰력에 의해 자동차가 속도를 줄이고 정지하게 되는 시스템입니다.
산길의 연속적인 굽은 내리막길 주행 시, 또는 고속도로 등에서 급제동을 자주 하게 되면 브레이크 유압시스템 내의 브레이크 오일이 과열될 수가 있고 이로 인해 기화 (증발)되면서 브레이크 오일 내에 기포의 발생을 유발하게 되어 유압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제동력이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을 브레이크 베이퍼록(Brake Vapor Lock)이라고 합니다.
베이퍼록(Vapor Lock)의 발생 메커니즘
자동차 브레이크 부스터(배력장치)의 기능, 구조, 원리 및 작동 방식에 대하여
길고 반복되는 제동으로 브레이크 디스크와 패드의 과열이 브레이크액으로 전달되고 전달된 열이 브레이크액을 끓게 해 기체가 발생하여 브레이크 유압라인에 기포를 생성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제동력이 감소하고 결국에는 제동력을 상실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 참고적으로 액체는 비압축성 유체이고 기체는 압축성 유체이기 때문에 앞서 말씀드린 브레이크 오일 유로 내에 기포가 발생하게 되면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더라도 브레이크 시스템 유로 내에서 제동 압력이 제대로 가해지지 않게 됩니다.
베이퍼록(Vapor Lock)의 증상
브레이크 저더 -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핸들이 떨린다고?
-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깊게 밟히고 스펀지처럼 말랑한 페달감을 느끼게 됩니다.
-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도 자동차의 속도가 이전보다 줄지 않고 멈추지 않게 됩니다.
- 주행 중 제동 성능이 급격히 감소합니다.
- 제동 시 브레이크 오일의 기화로 이상한 냄새가 발생할 수가 있습니다.
베이퍼록(Vapor Lock) 발생 원인
- 브레이크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장거리 내리막 주행 (산길 내리막 등)
- 고속 주행 중 급제동이 반복되면 열이 누적되어 브레이크 오일까지 전달
- 고부하 환경에서 브레이크 사용 빈도가 높은 트랙 주행 또는 와인딩
- 브레이크 오일을 주기적으로 교체를 하지 않아 오일에 수분이 함유되어 끓는점 낮아지는 경우
- 제동시 발생하는 열이 원활하게 방출되지 않아 유압라인까지 전달되는 브레이크 쿨링 성능 부족
베이퍼록(Vapor Lock) 예방 및 해결 방법
자동차 브레이크 부스터(배력장치)의 기능, 구조, 원리 및 작동 방식에 대하여
브레이크 오일 관리
DOT 4 이상의 고기화점 브레이크 오일 사용을 권장하며 트랙이나 스포츠 주행을 즐기시는 분이시라면 DOT 5.1의 사용을 권장합니다. 또한 브레이크 오일은 주기적으로 교환 (30,000 ~ 40,000Km 혹은 2~3년에 한 번 교환) 해 주시고 브레이크 오일 교환 시 브레이크 유압 라인의 확실한 공기 제거 (에어 브리딩)가 필요합니다.
운전 습관
긴 내리막길이나 연속되는 구불구불한 산악길에서 긴 브레이크는 자제하시고 엔진 브레이크를 적극 활용하고 브레이크 페달을 짧고 간헐적으로 사용하는 습관을 기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베이퍼록 발생 시 응급 요령
브레이크 저더 -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핸들이 떨린다고?
주행 중 앞서 말씀드린 베이퍼록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 즉시 차량 정차 후 우선적으로 브레이크 시스템의 열을 식히는 냉각이 중요합니다.
- 브레이크 오일의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시 보충합니다.
- 정비소에 방문하여 시스템을 점검하여 문제를 해결합니다. (브레이크 오일 교환 및 에어브리딩 등)
마치며
지금까지 브레이크 베이퍼록 현상에 대하여 정의, 발생원인, 예방 및 해결 방법 등등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주행 안전에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문제 발생 시 그 결과는 매우 치명적입니다. 따라서 평소 정기적인 브레이크액 관리 및 적절한 운전 습관을 통해 혹시 모를 위험한 상황에 미리 대비하시길 바랍니다.
자동차 브레이크 부스터(배력장치)의 기능, 구조, 원리 및 작동 방식에 대하여
자동차 빗길 수막현상 (Hydroplaning) 원리, 원인, 방지 방법 및 대응요령
자동차 빗길 수막현상 (Hydroplaning) 원리, 원인, 방지 방법 및 대응요령
따뜻한 봄이 오고 얼마 지나면 우리나라 기후 상 강수량이 많은 장마 시기가 오게 됩니다. 이때 자동차를 운전하게 되면 흔하게 겪는 현상이 수막현상 또는 하이드로플래닝(Hydroplaning) 현상입니
basic7.tistory.com
타이어의 동적 특성에 대한 이해 1.-슬립앵글, 코너링 포스, 얼라이닝 토크 등
타이어의 동적 특성에 대한 이해 1.-슬립앵글, 코너링 포스, 얼라이닝 토크 등
자동차의 타이어는 기본적으로 자동차의 무게를 지탱해 주는 역할뿐 아니라 자동차를 가속하거나 감속할 때, 그리고 코너를 선회할 때(Cornering) 자동차의 제어와 안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
basic7.tistory.com
자동차 승차감에 영향을 미치는 서스펜션 특성값 - Ride Frequency, Wheel Rate, Tire Rate, Ride Rate 등
자동차 승차감에 영향을 미치는 서스펜션 특성값 - Ride Frequency, Wheel Rate, Tire Rate, Ride Rate 등
자동차를 주행하시다 보면 자동차의 승차감의 중요성을 느끼게 됩니다. 편안하고 안락한 주행감 즉 승차감은 운전자에게 운전에 대한 피로감을 크게 줄여줄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자동차
basic7.tistory.com
자동차의 차량 좌표계와 6 자유도 운동 (Motion) 에 대한 정의
자동차의 차량 좌표계와 6 자유도 운동 (Motion) 에 대한 정의
자동차의 운동을 분석하고 검토할 때 보통 공간 상에서 운동하는 강체(Rigid Body)로 보고 3축의 차량 좌표계에서 각 축에 대한 6 자유도의 운동으로 분석하게 됩니다. 각 운동에 대한 정의를 이해
basic7.tistory.com
타이어 적정 공기압 및 점검주기, 점검방법, 단위 환산 (Bar-kPa-PSI)
타이어 적정 공기압 및 점검주기, 점검방법, 단위 환산 (Bar-kPa-PSI)
자동차의 타이어는 주행 시 지면과의 충격을 완화하고 안전하고 즐거운 주행을 위한 여러 주행 성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타이어의 공기압이 부족하거나 과하게 되면 연비, 타
basic7.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