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의 자장 중요한 기본 성능은 잘 달리고, 잘 정지하고, 잘 선회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중 특히 자동차의 제동 장치인 브레이크 시스템은 자동차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 중 하나로 운전자가 원하는 시기에 적절한 제동거리로 잘 정지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입니다.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은 여러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오늘은 그중 브레이크 배력 장치라고도 불리는 브레이크 부스터 (Brake Booster)의 기능, 작동 원리 및 방식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맥퍼슨 스트럿 타입, 더블위시본 타입 서스펜션 특성 및 장단점 보러 바로가기
목차
- 브레이크 부스터(Brake Booster)의 기능
- 브레이크 부스터의 구조
- 브레이크 부스터의 기본 원리
- 브레이크 부스터의 에어 밸브 (Air Valve) 작동
- 텐덤 브레이크 부스터 (Tandom Brake Booster)
- 마무리
브레이크 부스터(Brake Booster)의 기능
자동차 흡기 시스템의 원리 및 구조, 기능, 고장 유형 등에 대하여
브레이크 부스터는 유압 마스터 실린더와 브레이크 페달 사이에 위치하게 됩니다. 차량 제동 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 되면 브레이크 부스터 바디 내부에 엔진 흡기 메니폴드의 진공과 연결된 정압 챔버와 대기압의 변압 챔버 사이의 압력차에 의하여 운전자의 작은 브레이크 페달 답력(Brake Pedal Effort)을 몇 배의 제동력(Brake Force)으로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며, 이때 브레이크 유압 마스터 실린더의 유압을 통해 각 휠에 적절한 제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하게 되는 장치입니다.
브레이크 부스터의 구조
맥퍼슨 스트럿 타입, 더블위시본 타입 서스펜션 특성 및 장단점 보러 바로가기
브레이크 부스터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면 아래 그림과 같이 부스터 바디 (Booster Body), 부스터 피스톤 (Booster Piston), 피스톤 리턴 스프링 (Piston Return Spring), 리액션 기구 (Reaction Mechanism), 컨트롤 밸브 기구 (Control Valve Mechanism)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부스터 바디는 앞서 설명드렸듯이 기본적으로 다이어프램 (Diaphragm)에 의해 나뉜 정압 챔버 (Constant Pressure Chamber)와 변압 챔버 (Variable Pressure Chamber)로 나뉘어 있습니다.
자동차 배기 시스템의 정의, 기능, 구조, 종류, 고장유형 및 원인
브레이크 부스터의 기본 원리
유압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HPS,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EPS, MDPS 보러 바로가기
브레이크 부스터의 기본 원리는 앞서도 잠시 말씀드렸듯이 압력차에 의해 높은 제동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간단히 설명드리면 아래 그림과 같이 컨트롤 밸브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양쪽 챔버가 진공 상태가 되어 리턴 스프링에 의해 피스톤이 오른쪽으로 밀리게 되며, 반대로 컨트롤 밸브가 열리게 되면 챔버 B에 대기 공기가 들어와 챔버 B가 대기압 상태가 되면 A, B 두 챔버의 압력차이에 의해 피스톤은 스프링을 밀어내면서 왼쪽으로 이동하여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에 큰 유압을 발생시키게 되는 원리입니다.
자동차 쿨링(냉각) 시스템의 원리 및 고장 유형, 관리
브레이크 부스터의 에어 밸브 (Air Valve) 작동
유압식 파워스티어링 시스템 HPS, 전동식 파워스티어링 EPS, MDPS 보러 바로가기
부스터 에어 밸브가 닫힌 상태
아래 그림은 주행 중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밟지 않은 상태로 에어 밸브가 닫혀있어 제동력이 발생하지 않고 있는 부스터의 상태로 정압 챔버와 변압 챔버가 모두 진공 상태일 때의 모습입니다. 즉 밸브 작동 로드 (Valve Operating Rod)에 연결되어 있는 에어 밸브가 에어 밸브 리턴 스프링에 의해 오른쪽으로 이동되어 있는 있습니다.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의 원리 및 관리 방법 - HVAC
부스터 에어 밸브가 열린 상태
아래 그림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제동력이 가해지는 상태로 에어 작동 로드는 에어 밸브를 왼쪽으로 밀게 됩니다. 이때 에어 밸브에 의해 오른쪽으로 밀려있던 컨트롤 밸브 (Control Valve)은 컨트롤 밸브 스트링 (Control Valve Spring)에 의해 다시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정압 챔버와 변압 챔버 사이를 막게 되며 이때 변압 챔버로 대기 공기가 유입되어 변압 챔버가 대기압 상태로 변하게 됩니다. 이러한 두 챔버의 압력차이에 의해 부스터 푸시 로드를 왼쪽으로 밀게 되면서 마스터 실린더에 의해 큰 제동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텐덤 브레이크 부스터 (Tandom Brake Booster)
자동차 터보차저 시스템의 원리 및 관리 방법 보러 바로가기
텐덤 브레이크 부스터는 두 개의 피스톤(Diaphrgm)으로 구분되어 있는 두 개의 정압 챔버와 두 개의 변압 챔버를 가진 브레이크 부스터로서 콤팩트하면서도 싱글 부스터 대비 아주 큰 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부스터입니다. 작동 원리는 각각 2개의 정압 챔버와 변압 챔버를 가지고 있을 뿐이지 싱글 브레이크 부스터와 비슷하며 제동력이 가해질 때와 가해지지 않을 때를 아래 그림으로 간단히 대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에어 밸브 닫힌 상태 - 제동력 없는 상태
자동차 승차감(Ride)을 결정하는 요소 및 관련 시스템에 대하여
에어 밸브 열린 상태 - 제동력 발생
자동차 터보차저 시스템의 원리 및 관리 방법 보러 바로가기
마무리
자동차 흡기 시스템의 원리 및 구조, 기능, 고장 유형 등에 대하여
지금까지 브레이크 배력 장치라고도 불리는 브레이크 부스터에 대한 기능, 원리 및 작동 원리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을 갖었습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텐덤 브레이크 부스터에 대해서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이 여러분의 자동차 상식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타이어 적정 공기압 및 점검주기, 점검방법, 단위 환산 (Bar-kPa-PSI)
타이어 적정 공기압 및 점검주기, 점검방법, 단위 환산 (Bar-kPa-PSI)
자동차의 타이어는 주행 시 지면과의 충격을 완화하고 안전하고 즐거운 주행을 위한 여러 주행 성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타이어의 공기압이 부족하거나 과하게 되면 연비, 타
basic7.tistory.com
전륜구동 자동차와 후륜구동 자동차의 차이 및 특성, 장단점
전륜구동 자동차와 후륜구동 자동차의 차이 및 특성, 장단점
보통 우리가 운전하고 있는 자동차는 여러 방식으로 분류가 되지만, 그 가운데 구동 방식에 따라 전륜구동 자동차와 후륜구종 자동차로 구분이 됩니다. 그리고 자동차의 구동 방식에 따라 차량
basic7.tistory.com
겨울철 자동차 김서림 원인, 제거 및 방지 방법-면도 크림
겨울철 자동차 김서림 원인, 제거 및 방지 방법-면도 크림
장마철이나 겨울철에 주행을 위해 자동차를 탔을 때 자동차 유리에 김이 서려 운전이 곤란한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약속 시간에 맞추려면 시간은 없는데 운전은 바로 할 수 없고 짜증이 나는
basic7.tistory.com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의 원리, 장단점
자동차의 고성능화가 요구되면서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 또는 Dual-Cltch Transmission)가 적용된 자동차들이 1980년대부터 출시가 되었습니다. 빠른 변속과 연료 효율성 등등 많은 장점이 있는 듀얼 클
basic7.tistory.com
자동차 승차감에 영향을 미치는 서스펜션 특성값 - Ride Frequency, Wheel Rate, Tire Rate, Ride Rate 등
자동차 승차감에 영향을 미치는 서스펜션 특성값 - Ride Frequency, Wheel Rate, Tire Rate, Ride Rate 등
자동차를 주행하시다 보면 자동차의 승차감의 중요성을 느끼게 됩니다. 편안하고 안락한 주행감 즉 승차감은 운전자에게 운전에 대한 피로감을 크게 줄여줄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자동차
basic7.tistory.com